성공적인 투자의 삶

분산투자(포트폴리오) - 이것만 잘 알아도 투자의 반은 성공..

멀베리20 2024. 5. 27. 04:10

주식 투자 격언 중 제일 잘 알려진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지 마라" 입니니다.즉, 분산하여 위험을 줄이라는 내용입니다. 이는 투자뿐만 아니라 모든 위험한 것을 수행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입니다.

 

[제공 구글]

 

투자라면 쉽지 않다는 것을 모두들 안다. 그리고 투자로 부를 늘린 사람들도 많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이 보게 된다. 제 경험상 항상 잘 안다고 교만하게 되면 항상 실패로 가고 있다고 생각하면 맞는 것 같다. 즉, 계속 공부하고 그리고 시장을 이기려고 하지 말고 시장에 맡기면서 부의 기회를 항상 찾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근로소득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부를 늘리는 것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 중의 하나가 투자 포트 폴리오를 잘 구축하는 것입니다.

주식, 부동산 또는 뮤추얼 펀드 심지어 암호화 화폐에서와 같이 모든 투자에서 포트폴리오 구성의 기본 원리는 모든 곳에서 같이 적용됩니다. 여기서는 이런 중요한 포트폴리오에 대해 기본적인 내용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드리고자 한다.

 

투자방식

투자 방식의 결정에 따라 포트폴리오의 구성이 다르게 형성되어진다. 이것은 사람마다 견딜 수 있는 능력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통 세 가지 방식으로 투자를 나누게 된다. 

 

1) 공격적 투자

투자자가 높은 수익을 위해 어느 정도 위험 부담을 감수하는 방식으로  어느 정도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최대의 투자 수익을 기대하는 것입니다.

 

2) 중간적 투자

투자에 대한 위험이 중간 정도인 것으로 안전과 이익 사이에서 균형을 추구하여 장기적인 투자를 하게 됩니다. 보통 5~10년의 투자 기간을 갖지고 투자 기간에 위험을 줄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올리기 위함입니다. 

 

3) 보수적 투자

이 방법은 투자자들이 보통 은퇴 하셔서 안정적인 수익률을 원하거나, 투자자들이 지식이 부족하여 높은 수익보다는 안정적인 수익을 장기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투자 방식입니다. 

 

보통 아래의 표와 같이 포트폴리오 투자 방식이 구성됩니다. 즉, 주식 구성이 80% 이상으로 많고 현금 보관이 5% 정도로 운영될 때 공격적인 투자이고, 보수적인 투자는 주식 구성이 30% 미만이고, 현금 보관 비중이 20% 이상이면 안정적인 보수적인 투자 방식입니다.

포트폴리오 구성 예[제공 b2broker]

 

더불어 분산 투자를 위해 미주, 유럽 등 지역적으로 분산시킨다거나, 다양한 전통적인 제조공장, 닷컴, 인공지능 또는 배터리 등 2차 전지와 같이 섹터를 구분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이는 주식, 채권, 외환 또는 암호화 화폐와 같은 여러 자산을 나누어 다양하게 소유하는 것과 더불어 소형주, 소형주 그리고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의 국내외 주식 등과 같이 자산계급별로 다른 유형의 투자하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포트폴리오입니다.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예제

주식, 채권, 현금 및 기타 자산 등급의 잘 혼합하여 구성되어야 합니다. 이들의 비율은 개별 리스크 허용 범위와 투자 목표에 따라 다르게 구성한다.

 

예제를 들어 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투자자의 포트폴리오가 구성이 주식 : 50%, 채권 : 40%, 현금, 상품 및 암호화폐 : 10% 라고 가정해 봅시다. 이런 경우, 예를 들어 현금과 암호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는 동안 보유 주식의 비율이 70%로 상승했다면, 이들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암호화폐 자산에 더 많은 투자를 하고 보유 주식 수를 줄여 안정성을 유지하고 위험을 낮추는 방식으로 포트폴리오를 재 조정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가능하면 균형 있게 포트폴리오를 항시적으로 유지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가능하면 이런 포트폴리오를 규칙적으로 재 조정을 수행해야 합니다. 투자 프로세스를 잘 실행하기 위해서는 투자자의 포트폴리오의 검토 빈도와 재조정 시기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는 계획 표을 작성해야 성공적인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최대한 감정을 배제하고 이성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필요할 때마다 항상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가능하면 더 나은 결정을 내리고자 노력하고, 더 나은 투자 전략을 적용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합니다.